본문 바로가기

자청4

뇌 자동화 CHAPTER5 - 역행자 4단계 : 뇌 자동화 뇌를 자동화 시킨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22전략 - 2년동안 2시간씩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 오목 이론 - 현재 당장의 성취를 얻으려 하지말고 장기적인 수를 계속 두면서 나만의 도구와 능력치를 높여 이긴다. 나는 이 챕터에서 나오는 22전략과 오목 이론을 읽으며 또 한 번 나를 돌아보기도, 반성하기도, 왜 지금의 문제들에 빠졌으며, 왜 내가 고통스러워 했는지 알게되어 가려운 곳을 긁은 느낌이었다. 나는 25살까지 책이라고는 1년에 한 장도, 한 문단도 읽지 않는 사람이었다. 전형적인 고정적 사고방식이었고, 꽤나 부정적이었는데 26살에 꿈이 생기고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이나 인터뷰를 찿아보기 시작했다. 그들의 공통점은 항상 같았다. 책과 글쓰기, 시간 관.. 2023. 2. 6.
유전자 오작동 극복 CHAPTER4 - 역행자 3단계 : 유전자 오작동 극복 김상운 저자의 책 '왓칭' 에서 사람은 위협을 느낄수록 뇌 편도체(아미그달라)가 활성화 되어 분노, 증오, 슬픔,절망, 공포 등 모든 부정적인 감각에 빨간 불이 들어온다고 한다. 그로인해 다양한 형태로 나를 위협하는 상황이나 사람이 오게 되면 자신을 지키기 위해, 자의식을 지키기 위해 인간은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아무런 도전을 하지 못해 도태되거나, 폭력성을 띄거나 하는 것이다. 원시시대에는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감각이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많은 오류를 낳게 한다. 책 역행자 에서는 이 부분을 "클루지" 라고 한다. 우리의 뇌 안에는 포유류의 뇌, 파충류의 뇌, 인간의 뇌가 들어 있고,(삼위일체의 뇌)이 뇌들은 저마다의 기능을 한다. 파충류.. 2023. 2. 5.
정체성 만들기 나는 나를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CHAPTER3 역행자 2단계 - 정체성 만들기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중에 하나인 '하버드 상위1%비밀' 에 나온 내용에는 사람들은 자기자신을 정의한 대로 살아간다고 한다. 그것에 대한 연구결과도 무척 많은데 이 책을 처음 집었을 때 내 심장은 마구 설렜었다. 내가 "예술가" 라고 생각하고 나를 정의한다면, 나는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시작하고, 그것에 맞는 지식을 이미 훌륭한 예술가의 자세로 받아들이니 그 분야의 최소 상위 10%는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 왜 우리는 어떤 분야의, 내가 원하는 꿈에 상위 10% 언저리로 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을까? 그 비밀은 주변 소음의 차단이었다. "이 업계는 인맥없이는 아무것도 안돼.아무리 능력이 좋아도." .. 2023. 2. 3.
자의식 해체 바쁘다는 핑계로, 그리고 중요하지 않을거란 이유로 글쓰기를 멈췄었다. 그동안 내 머리는 끈적한 것이 여기 저기 더러운것과 엉겨붙은 것처럼, 뇌에 마비가 온 것처럼, 어떤 엄청난 무거운 것이 내 삶을 꾹 눌러놓은 것처럼, 그렇게 내 뇌와 멘탈은 무너지고 있었던 때에 자청의 '역행자' 라는 책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나오는 공략 하나 하나를 내 삶에 완전히 녹여서 다시 태어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역행자 1단계 - 자의식 해체 요즈음 자기계발 붐이 일어난 만큼 사람들은 점점 '나 자신을 사랑하기' '자존감 회복하기' 에도 관심이 많아졌다. 하지만 잘못 해석하고 받아들여 자의식이 과잉된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다. 대표적으로 내가 그렇다. 누군가의 명령에 "내가 왜 그래야 하지?" "내가.. 2023. 2. 2.